최근 대선 TV토론에서 이재명 후보가 제시한 ‘호텔 경제학’이 큰 화제가 되었습니다.
일부는 이를 단순하고 기발한 비유라 평가하는 반면,
다른 일부는 비현실적인 환상이라며 비판하기도 했죠.
그렇다면 ‘호텔 경제학’은 정말 비현실적인 이야기일까요?
사실은 그렇지 않습니다. 경제의 순환 구조를 설명하는 대표적인 교과서적 개념,
즉 승수 효과(Multiplier Effect)를 누구나 이해할 수 있도록 풀어낸 표현입니다.
'호텔 경제학'의 스토리
한 여행자가 마을에 와서 호텔에 10만 원을 맡깁니다.
호텔 주인은 그 돈으로 미뤄둔 식당 외상값을 갚고,
식당 주인은 그 돈으로 정육점에 갚고,
정육점 주인은 문방구,
문방구 사장은 미용실,
미용실 원장은 다시 호텔 외상비를 갚습니다.
그리고 여행자는 갑자기 취소를 결정하고 자신의 10만 원을 그대로 돌려받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마을은 10만 원으로 모두가 빚을 갚았고,
서로의 경제가 다시 돌아가게 되었습니다.”
이게 바로 경제 순환의 원리입니다.
이게 말이 되는 이유 – 경제학적으로 본 ‘승수 효과’
이 비유는 단순한 동화가 아닙니다. 실제 케인스 경제학에서 설명하는 승수 효과와 원리가 똑같습니다.
- 누군가가 소비를 하면
→ 그 돈은 다른 사람의 소득이 되고
→ 다시 그 사람이 지출을 하며
→ 연쇄적으로 경제 전체의 총소득이 늘어나는 효과를 만들어냅니다.
이처럼 “한 번의 지출이 수차례의 거래를 낳는다”는 개념이 바로 호텔 경제학의 핵심입니다.
이재명 후보의 메시지는 무엇이었을까?
이재명 후보가 말하고자 한 건 단순히 '10만 원의 마법'이 아닙니다.
그가 강조한 것은 바로 정부의 적극적인 재정 역할입니다.
- 경기 침체기에 정부가 선제적 지출을 하면
- 그 돈은 시장에 풀려 경제 주체들의 거래가 늘고
- 그 결과 세금, 고용, 생산 등도 따라 회복됩니다.
즉, ‘호텔 경제학’은 단순한 상상이 아닌
“지출이 돌고 도는 구조 속에서 경제가 살아난다”는 메시지를 전하기 위한 설명이었던 셈입니다.
그리고 여기서 ‘지역화폐’가 등장한다
이재명 후보가 강조했던 또 하나의 정책 수단이 지역화폐입니다.
‘호텔 경제학’의 순환 구조가 실제 경제에 작동되기 위해서는
돈이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고 지역 안에서 순환하는 구조가 중요합니다.
바로 이 점에서 지역화폐는 그 순환을 현실화하는 강력한 도구가 됩니다.
- 지역화폐는 대형마트나 외부 온라인몰에서는 사용이 불가하고
- 동네 가게, 전통시장, 자영업자 매장에서만 사용 가능
즉, 한 사람이 지역화폐로 치킨집에서 식사 →
치킨집 사장은 그 돈으로 미용실 →
미용실 사장은 문방구 →
문방구 주인은 다시 식당...
이런 식으로 ‘돈이 지역 안에서 계속 돌게 만드는 구조’가 완성됩니다.
일반 현금보다 승수 효과가 더 크고 빠르게 작용할 수 있는 이유죠.
왜 사람들은 비판했을까?
비판자들은 다음과 같은 점을 문제 삼습니다:
- 현실에서는 외상도 아니고, 미수도 갚기 어렵다
- 심리, 거래비용, 리스크 등 ‘간단하지 않은 현실’을 무시했다
- ‘마치 공짜 점심이 존재하는 듯한 환상’을 조장한다는 주장
그러나 이건 정책 실행의 복잡성을 이야기하는 것이지,
‘경제 순환’의 원리 자체가 틀렸다는 말은 아닙니다.
이재명 후보의 ‘호텔 경제학’은 단순한 비유가 아닙니다.
거기에 지역화폐 같은 수단이 결합되면
실제 경제 현장에서 돈이 돌고, 사람들이 버티고, 자영업이 살아나는 구조가 완성될 수 있습니다.
핵심은 '어떻게 지출할 것인가'에 대한 의지와 설계,
그리고 '그 돈이 어디에 머무를 것인가'를 정하는 정책의 방향성입니다.
'경제 & 재테크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매매 여성들의 빚, 그리고 침묵 속의 고통 – 서울시 상담 3년간 1,768건” (1) | 2025.05.22 |
---|---|
"AI부터 핀테크까지, 지금 주목해야 할 미국 성장주 3선 – AppLovin, Paycom, Nu Holdings" (2) | 2025.05.21 |
신용융자 18조 돌파 눈앞… ‘빚투’ 다시 불붙은 이유는? (3) | 2025.05.21 |
목표주가 10만5000원! 한국항공우주, 하반기부터 날아오를 준비 끝냈다 (0) | 2025.05.20 |
조용히 뜨고 있는 AI 자동화 유망주, 유아이패스(PATH)를 아시나요? (1) | 2025.05.20 |